본문 바로가기
의학

스톡홀름 증후군의 증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by 드렁큰k 2020. 6. 8.

 스톡홀름 증후군의 증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스톡홀름 증후군의 증상과 원인은 무엇인가?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은 1973년 스톡홀름에서 은행 강도 사건에서 인질로 잡힌 사람들에게 관찰된 심리적 특징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그 사건에서 두 남자는 은행 금고 안에서 6일 동안 은행 직원 4명을 총으로 겨누고 인질로 잡고 있었는데, 인질극이 끝난 후 피해자들은 납치범들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됐고,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까지 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명이 위협을 당하는 경험 후에 어떻게 인질범에게 감정적인 애착이 형성되었는지 이해하기 힘들 수 있지만, 이 특이한 현상은 드문 경우에 한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리학자들은 이 신드롬이 인질 사건에서 발생하는 것 외에도, 가정 학대의 피해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에 걸린 한 희생자의 가장 유명한 예로는 1974년 납치된 유명한 미국의 신문사의 상속녀 '패티 허스트(Patty Hearst)'가 있었습니다. 허스트는 결국 납치범들이 은행을 털도록 도움을 주고, 그들의 공격적인 대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습니다. 또 다른 유명한 예는 2002년에 납치된 미국의 유타주 청소년인 엘리자베스 스마트(Elizabeth Smart)의 사례로써, 납치 이후 경찰이 그녀를 발견했을 때 스마트는 납치범들의 건강과 법적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증상

스톡홀름 증후군은 특정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리학적 개념이지만 공식적인 진단은 아닙니다. 하지만 법 집행 기관과 정신 건강 전문가들은 스톡홀름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수용과 인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스톡홀름 증후군은 포로가 인질범들에게 동정심을 갖기 시작하고 그들에게 감정적으로 의존하게 되면서, 스톡홀름 증후군을 가진 사람이 자신을 인질범과 동일시하거나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피해자가 납치된 상황속에서 납치범에게 점점 더 많은 긴장감과 두려움을 느끼게 되고 자신을 돌보는 능력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결국 납치범들의 보살핌에 더욱 의존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을 가진 피해자들은 두 가지 주요 특징을 보여주었습니다. 첫째는 납치범들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였으며, 둘째는 법 집행에 대한 분노와 불신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었습니다. 또한 일부 피해자는 경찰의 행동이 그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아직 스톡홀름 증후군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나 학습된 무력감 등 다른 증상들과 함께 나타나고 있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원인

스톡홀름 증후군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직 완전히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심리학자들은 그것이 정서적, 신체적 공격의 방어를 위한 보호 전략과 대처 방법으로 생각합니다. 이는 실제로 생존을 바탕으로 하는 형태 그 자체로써, 상황속의 두려움과 의존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행동입니다.

실제로 피해자들은 납치범들의 행동에 의해 생존에 대한 위협을 느낀 이후, 인질들은 자신의 처지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납치범들이 피해자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면 인질들은 작은 친절에도 감사함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인질들은 살아남기 위해서는 납치범들의 반응에 익숙해져야 하며, 의존과 순응과 같은 개인을 기쁘게 하려는 심리적 특성을 학습하게 됩니다.

 

 

댓글